...

헝다그룹 중국 부동산 1위의 몰락

Photo of author

By cryptozone

헝다그룹 중국 부동산 1위의 몰락

떨어지는 화살표
떨어지는 화살표

 

헝다그룹 몰락의 배경과 금융 시장의 전망

Evergrande Group은 한때는 중국내 부동의 1위를 달리던 기업이었습니다. 하지만 당시에 Evergrande Group의 몰락이 화두가 되면서 2020년 당시 전 세계 금융 시장에서 분석의 대상이 되있습니다.

Evergrande Group은 과거에 중국 경제의 발전과 맞물려 엄청난 성장을 이루어 2020년 당시 중국 자국 내 부동산 기업 1위 전세계 포춘지 선정 122위 정도의 위치에 오른 막대한 기업 이었습니다.

하지만, 2020년 9월 시작된 중국 정부의 부동산 대출 규제, 높은 채무 비율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파산 위험에 처한 사건 이었습니다.

또한 2022년 10월 11일 세계적인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중국 부동산기업 Evergrande Group과 그 계열사들에 대한 정보가 불충분 하다는 이유로 신용등급을 철회하게 되는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그리고 본 포스팅을 하기 불과 몇일전 2023년 8월 17일에는 미국 맨해튼 법원에 파산보호 신청을 한 사건 입니다.

본 포스팅 에서는 주택시장의 과잉 공급으로 인한 주택 시장의 붕괴로 벌어진 2007년 당시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Subprime Mortgage)와 많이 닮아 있는 Evergrande Group 사건을 살펴보고,

Evergrande Group을 몰락에 이르게 한 주요 원인들과 그로 인한 금융 시장 및 투자자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을 파헤쳐 보고자 합니다.

Evergrande Group의 사건으로 2023년 현재 중국 내 이슈가 되고있는 비구이위안(Country Garden)이 2023년 8월 7일 지급기한인 달러화 채권 대한 이자 2250만달러 지급에 실패함에 따라 중국내 금융 위기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 아닐까 의심하는 상황 입니다.

비구이위안(Country Garden) 사건 전 발생한 Evergrande Group의 사건으로 미리 일어날수 있는 사건들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China Evergrande Group
China Evergrande Group

헝다 그룹 탐욕의 시작

Evergrande Group은 중국 허난성의 빈농 출신 쉬자인(许家印, 허가인)이 1996년 6월 24일에 중국 광저우시에서 창업한 기업입니다.

쉬자인(许家印, 허가인)은 1996년 중다그룹 임원으로 활동하다 중다그룹에서 독립하고 Evergrande Group을 창업합니다.

Evergrande Group은 2000년대 중,후반까지 광저우의 부동산 확장붐을 타고 사업을 문어발식으로 계속 확장하였고 2000년대 후반 중국의 신흥 재벌이 됩니다.

2010년대 중반에는 한때 중국 최고의 갑부 마윈을 제치고 중국 1위의 부자가 되기도 합니다. 형다 그룹의 계열사로는

헝다부동산 (恒大地产: 부동산 건설)
헝다자동차 (恒大汽车: 전기자동차)
헝다물업 (恒大物业: 부동산 관리)
헝다어린이월드 (恒大童世界: 놀이동산)
헝다헬스케어 (恒大健康: 양로시설)
헝텅네트워크 (恒腾网络: OTT 서비스)
헝다하이테크 (恒大高科技: 차세대 산업)
팡처바오 (房车宝: 사물인터넷)
헝다빙천 (恒大冰泉: 음료, 식품)
헝다생명 (恒大人寿: 보험사)등이 있습니다.

창립 이래 고공 행진을 이어가던 Evergrande Group은 2009년 11월 5일에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까지 하며 성공적인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성공을 기록하게 됩니다.

헝다그룹 간판
헝다그룹 간판

문어발식 과잉투자와 거품경제의 함정

Evergrande Group의 몰락의 전조는 과잉투자와 거품경제의 함정에 빠지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적극적인 부동산 개발 및 투자를 이어왔던 Evergrande Group은 오히려 경제성이 낮은 매우 낮은 프로젝트에 성공이란 성취감에 젖어 필요이상의 큰 비용을 낭비하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기업의 부채비율은 급속도로 상승하면서, 기업의 지급능력이 약화되어 결국 헝다그룹은 상승의 모멘텀을 잃게 되었습니다.

2021년 10월 4일, Evergrande Group의 주식은 금융 건전성 문제로 인해 거래정지에 이르렀습니다. 거래정지 이전부터 Evergrande Group의 부채 문제가 점차 대두되면서 기업의 신용위기가 격화되었습니다.

그 결과 주가의 가격이 급락하며 기업의 가치 손실이 증가하였고, 글로벌 투자자들은 이로 인한 위험을 우려하기 시작했습니다.

거래정지가 발생한 이후 전문가들은 기업 구조조정이나 정부 지원 등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방향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로 재정 문제에 시달리고 있는상황 입니다.

현재는 Evergrande Group의 미래가 불투명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Evergrande Group뿐만 아니라 중국의 부동산 시장 전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악재로 작용하게 되는 상황입니다.

떨어지는 집값
떨어지는 집값

중국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

중국은 빠른 속도로 성장한 2000년대 당시 부동산 시장이 가계의 부채를 큰폭으로 증가시켰으며 부동산의 가격의 어마어마한 거품이 형성 되었다는 것을 알게됩니다.

2020년당시 시진핑 정부는 공동부유론(모두가 같이 부유해지자는 의미)를 이유로 팬데믹 기간에 집값을 올리는 부동산 기업들의 악습적인 형태를 대외적으로 비판하며 규제하기 시작합니다.

이 때 내건 중국 정부의 슬로건은 “집은 주거의 대상이지 투기의 대상이 아니다”였습니다.
이에 따라 당시 중국 정부는 주거시장의 안정과 부동산 거품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각종 규제를 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각종 대출 규제, 매수 제한, 은행의 모기지 대출 가산 금리의 큰폭 인상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습니다.

Evergrande Group의 몰락은 2020년에 시작된 중국 정부의 부동산 기업에 대한 대출 규제가 결정적인 역활을 하게 됩니다.

규제로 인한 헝다그룹의 영향

위와 같은 부동산 규제 강화로 인해 Evergrande Group은 기존의 급속한 성장과 사업 확장에 큰 장애물이 생겼습니다. 규제가 강화되면서 Evergrande Group의 신규 프로젝트들은 시작조차 어려워졌으며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변화를 겪게 되었습니다.

a.기존 프로젝트에 대한 적극적인 개발 및 건설의 지체
b.전략적인 투자기회 획득의 제약
c.부동산 거래 활동 상당 부분이 둔화 등 차익 가능성 감소
Evergrande Group의 사업 확장 어려움과 신규 수익 창출의 둔화와 Evergrande Group 내 부채가 증가함에 따라, 금융 시장에서는 금리 및 기타 금융 비용 상승이 나타났으며, 이는 기업의 신규 투자 능력 및 수익창출 역량에 한계를 가져왔습니다.

이로인해 중국내 기준 금리 상승과 함께 금융 시장의 유동성이 축소가 되었으며 금융 위기에 따른 자금 조달에 어려움이 동반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주택 판매 가격과 거래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Evergrande Group의 수익 창출 능력이 급락하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2020년 당시 중국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는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이 일어나는 정상적인 부동산 시장이 아닌 과잉 공급과 투기성 자본들로 인한 주택시장의 가격 거품을 터트리기 위해 적절한 조치였다고 보는 이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중국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인해 Evergrande Group의 사업 확장에 악영향을 미쳐 기업의 성장성에 막대한 제약을 가져왔습니다.

이로 인해 기업의 부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지급능력이 악화되었습니다.
이러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Evergrande Group은 신규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기존의 사업을 유지하는 것에도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신용도 하락과 금융 시장의 우려

 

a.신용등급 기관들의 평가 조정

Evergrande Group에 닥친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신용평가 기관들은 그들의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였습니다.
큰 충격이 주어진 이유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신용평가 기관인 무디스(Moody’s), S&P, Fitch 같은 기관들이 해당 조치를 취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평가 조정은 은행, 채권, 주식시장 등 국제 금융 시장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습니다.

b.금융시장의 우려 및 투자자들의 반응

Evergrande Group의 채무 위기, 신용평가 기관들의 신용등급 조정등이 전 세계 금융 시장에 우려를 확산시켰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대부분 자산을 신속하게 매각하여 손실을 줄이고자 합니다.
그 결과 Evergrande Group의 주식 가격은 폭락 주준의 하락세를 보였고, 이는 회사의 채무 상환 능력을 더욱 악화시켰습니다.

c.헝다 그룹의 채무 상환 능력 분석

Evergrande Group의 채무 상환 능력 분석에서, 기업은 신규 채무상환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기존 부채의 연체 발생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이런 현상은 기업의 악순환을 가속화시키고, 급격한 부실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를 종합해보면, Evergrande Group의 신용도 하락과 금융 시장의 우려는 투자자들이, 자산 매각에 시달리는 동안 경쟁하게 되며, 이로 인해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더욱 악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습니다.

향후 헝다 그룹은 금융 구조 개편을 통해 기업의 건전성을 회복하고, 일련의 사건들로 인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을 시행하려고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헝다 그룹의 위기로 배우는 교훈

Evergrande Group의 몰락은 중국을 포함한 전세계 경제,금융 시장에 많은 교훈을 남기며 역사에 한 획을 그었습니다.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중요한 교훈들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습니다.

투자와 발전의 균형 유지

Evergrande Group의 사례를 통해 무분별한 투자와 성장보다는 투자와 발전의 균형이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안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업들은 자산 확보를 위한 과도한 전략적인 진출보다는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에 집중하며, 경영진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문어발식 성장의 위험성

Evergrande Group의 문어발식 성장은 최종적으로 기업의 몰락으로 이어졌습니다.
기업의 성장과 확장에 만족하지 않고 차익만을 추구하기 위한 일시적인 성과나 판단에 치우친 결정은 기업의 안정성과 장기적인 성장을 저해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전략 수립 시 꼼꼼한 계획과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금융 안정에 대한 영향

Evergrande Group의 위기는 전 세계 금융 안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투자자들은 더욱 경계를 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급격한 회사의 변동성이 곧 시장 전 단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투자자 등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언제든 적절한 투자 결정을 내릴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으로 Evergrande Group의 몰락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정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 및 기업 투자자들이 좀 더 지혜로운 금융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세상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이상으로 Cryptozone 에서 헝다 그룹 사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감사합니다.

Seraphinite AcceleratorOptimized by Seraphinite Accelerator
Turns on site high speed to be attractive for people and search engines.